몸 관리
몸이 아플 때 혈당은 어떻게 되며,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특히 고열이 나는 감기 몸살이나 요로감염등이 있을 때 우리 몸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므로 먹는 양이 거의 없더라도 혈당은 오를 수 있으며, 열 없이 계속적인 구토 및 설사 로 식사를 거의 못하는 경우에는 혈당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. 따라서 혈당을 측정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혈당 조절을 위해 인슐린이나 경우혈당강하제의 투여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.

  • 인슐린을 맞고 있는 환자
    매 식전 1일 2회 또는 4~6시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합니다. 특히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소변에서 케톤산을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은 방법으로 속효성 인슐린의 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식사요법,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하고 있을 때 열이 있거나 먹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투약은 그대로 하고, 열 없이 계속적인 구토와 설사로 식사를 전혀 못할 때 에는 투약을 반 정도 줄이거나 투약하지 않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혈당과 측정해 보아야 할 것이 있습니까?

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탈수가 심해서 체중감소가 생겼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심한 경우에는 혈압이 떨어져 정신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서는 1시간에 1컵 정도의 물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. 제1형 당뇨병에서는 3~4시간 간격으로 소변에서 케톤산 검사를 해 보아야 합니다. 케톤산이란 우리 몸에 인슐린이 충분하지 않거나 잘 먹지 못할 때 몸의 지방질이 분해되어 생기는 물질로 우리 몸의 산,염기 균형을 깨뜨려 위험하게 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. 소변 스틱 중에는 케톤을 측정할 수 있는 것 (케토스틱스)이 따로 있으므로,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

먹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먹는 것은 평소와 비슷하게 먹으려고 노력해야겠지만 제대로 먹지 못할 때에는 아플 때 먹기 쉬운 음식을 먹을 수도 있겠습니다.

몸이 아플 때 어떤 경우에 꼭 병원에 가야 하나요?
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더 이상 끌지 말고, 병원에 오시는 것이 안전합니다. 잘 알아 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

  • 2일 이상 아프거나 열이있고, 좋아지지 않을 때
  • 6시간 이상 토하거나 설사를 계속 할 때
  • 혈당이 계속해서 250mg/dl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을 때
  • 소변 검사상 케톤이 2회 이상 ++ 또는 +++ 로 나올 때
  • 가슴이 아프거나, 숨이 차거나, 입이나 혀가 계속해서 마를 때
  • 본인 스스로가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를 때